[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jeehk (me) 날 짜 (Date): 2003년 7월 13일 일요일 오전 07시 58분 29초 제 목(Title): Re: [생명기계] 들어가며 cellular automata 를 다뤄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최근에 관심을 가졌던 거라... :-D 쇼팽님이 글에서 다소 선정적인 어휘를 쓰시는 경향이 있는 것 같긴 하지만, 의도적으로 그러시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쇼팽님이 글을 쓰시는 의도를 생각해 볼 때, 어쩌면 아주 적절한 어휘 선택일수도... 전문 지식이 없는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그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역시 (1) 한 문장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 (그러다보니 주술 호응이나 문장 구조가 좀 이상해지는 경우가 생기는 듯...) (2) 번역체 어투가 많다는 점 (어휘는 한국말인데 문장 구조는 영어인...) (3) 가끔씩 틀리는 맞춤법 (자주는 아닙니다) ... 을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1)번이나 (2)번 문제는, 학구적인, 혹은 기술적인 글을 쓰는 경우에 피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글들이 kids 분들에게만 보여주실 게 아니라 출판까지 고려하시는 거라면, 문장을 다듬는 데도 상당히 신경을 쓰셔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나라에서 이공계 쪽 전공한 사람들이 쓴 책들 보면, 정말 못 봐줄 정도로 엉성한 문장을 사용한 책들이 종종 있는데...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쇼팽 선배님의 글은 그런 것들과는 좀 차별화되기를 개인적으로 바랍니다. (외국의 저명한 학자들은 모두 professional writer로서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명저를 만들기 위해선 전문 지식만큼이나 글쓰는 능력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 말하는 저도 글 쓰는 건 엉망이지만... 그래도 외국 학자들이 쓴 책과 우리 나라 학자들이 쓴 책을 보면 너무 대조가 되어서 씁쓸한 때가 많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