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tseug) <adsl-66-72-176-6> 날 짜 (Date): 2003년 7월 2일 수요일 오후 10시 06분 13초 제 목(Title): Re: 창의적 연구진흥 사업 6개 과제 선정 제 전공도 과제선정 되신 분과 마찬가지로 '산업공학'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학제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보니 '공학'의 연구가 '자연과학'의 연구에도 기여하기도 하더군요. 전산학이 생물학과 비교하여 더 공학에 가깝다고 한다면 전산학에서 활발히 연구된 automata이론이 생물학의 DNA 이론에 널리 쓰이는 것이 한 예일것도 같더군요. 또 보니깐 automata가 물리학의 퀀텀이론과도 관계가 있는 듯 하더군요. 그래서 보르노이 다이어그램과 관련한 제가 모르는 새로운 분야가 열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궁금해서 말이죠. @ 45 Kg의 뻬뻬군이 100 Kg의 뚱뚱보가 됐을 때의 모양말고는 보르노이 다이어그램의 생명현상에 대한 응용분야가 또 없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