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asdf) <203.237.101.114> 날 짜 (Date): 2003년 6월 30일 월요일 오전 10시 26분 53초 제 목(Title): 창의적 연구진흥 사업 6개 과제 선정 (서울=연합뉴스) 지일우기자= 과학기술부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연구내용, 연구 추진전략과 체계, 연구실적 등을 평가해 차세대 연구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창의적연구진흥 사업'으로 올해 6개 과제(연구자)를 선정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과기부는 지난 3월 창의사업 연구과제를 공고, 접수된 54개 과제를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예비연구신청서 서면평가, 본연구신청서 발표 패널 평가, 추가 기획위원회 최종 심의 등을 거쳐 6개 과제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은 기존 기술의 연장이 아니라 `현상과 원리 규명 또는 창조 분야', `새로운 기술혁신의 싹을 탐색.발아시키는 분야', `기존 과학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과제(연구자)를 선정.지원하는 것으로, 선정된 연구자는 독자적으로 연구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연간 평균 6억원씩, 최장 9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97년 시행된 이후 지난 1월까지 창의적 연구단 사업으로 국내 54건, 국외 46건의 기술특허가 등록됐다. 올해 6개 과제가 신규 선정됨에 따라 현재 계속과제를 포함해 62개 과제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자와 과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학과 김은준(金銀俊.40) 교수의 시냅스 생성 기전 연구 : 신경세포 사이의 신경전달을 매개하는 `시냅스'의 생성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정상적인 뇌기능과 다양한 뇌질환의 발병 원인을 규명한다. ▲이화여대 남원우(南元祐.44) 교수의 생체 모방을 통한 산소화 효소의 화학반응 규명과 인공효소 시스템 창출 : 인공 산소화 효소 모방체를 사용해 생체에서 � 반도체 기판위의 원자선, 나노점, 원자막의 특이 전자물성 연구 : 반도체 기판위에 원자선, 나노선, 단원자막을 형성.제어함으로써 이들의 특성을 평가해 궁극적으로 원자단위 신물질계의 특이한 전자물성을 탐구.규명하는 한편 새로운 전자물성을 지닌 물질을 발견한다. ▲충북대 의과대학 배석철(裵錫哲.46) 교수의 암 억제 유전자 RUNX3 기능연구: 최근 발견된 암 억제 유전자 RUNX3의 기능 연구를 통해 암의 발병 기전(매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암의 진단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한다. ▲한양대학교 산업공학과 김덕수(金德壽.44) 교수의 고차원에서 유클리드 거리척도에 따르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 연구: 공간내 입자들간의 영역을 분할.연구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다양한 추론을 가능케하는 수리.계산 도구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론을 개발해 물질과 생명현상의 본질을 이해한다. ▲인하대 기계공학과 김재환(金才煥.43) 교수의 EAPap 작동기 연구: 인공근육재료인 EAP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지능성 재료인 EAPap의 작동기를 개발한다. EAPap는 김 교수가 세계 처음 발견한 것으로, 초소형 벌레 로봇, 초소형 비행체, 초경량 우주구조물, 오락산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