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KAIST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schun) <203.238.84.8>
날 짜 (Date): 2003년 6월 14일 토요일 오후 04시 52분 48초
제 목(Title): Re: [p] 바이오인포매틲스 기사


앞부분은 그렇다 쳐도, 어떻게 (1)/(2)에서 이런 터무니 없는 결론이 나올 수 
있는지 도저히 모르겠군요. 저자 말대로 gene finding에 쓰는 hidden Markov
model이나 neural network을 보통 IT 기법이라 부른다고 치더라도, 우리나라가 
그런 IT에 강합니까? 설사 그렇다치더라도, 생물학관련 기초연구도 부족하고 
정보축적도 부족한데, IT만 가지고 고부가가치 정보를 끄집어 낸다는 게 
말이 됩니까. 

결론은 마음대로 정해 놓고, "IT 기반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말까지 
만들어 가면서 설득 시키려고 하는군요. "바이오인포매틱스는 기술을 개발하는
입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라는 말에서는 대략 정신이 멍해 
지는군요. 괜히 물이나 흐리지 말았으면 하네요.

-------------------

 3.IT산업의 제2도약 모델
 이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산업에 유용한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거의 모든 IT가 접목된다.
 차세대 산업을 이끌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적화된 방법은 국내의 강한 IT를 이용해야 한다.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BT 관련 기초 연구에 장기간의 시간과 연구비를 투자, 그 결과 많은 바이오
정보가 축적돼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에서야 연구 개발이 시작됐으며
존재하는 바이오 정보도 산발적으로 펼쳐져 있다.
 우리나라의 IT 및 인프라는 세계적인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면 바이오 산업뿐 아니라 침체 상태에
접어든 IT산업에도 새로운 산업 분야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