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ngulKorean ] in KIDS 글 쓴 이(By): yonho (Song) 날 짜 (Date): 1994년12월11일(일) 04시41분49초 KST 제 목(Title): RE:한텀폰트... 저도 한텀을 인스톨할 때 똑같은 문제가 생겼었지요. 해격책은 먼저 xlsfonts |grep iso라고하면 뭔가 쭉 나올 겁니다. 마찬가지로 xlsfonts | grep kaist도 하세요. 그래서 마음에 드는 걸 하나씩 선택해서 예컨대 hantermrc라고 하는 화일에 다음과 같이 써주세요. %more hantermrc Hanterm*font: -adobe-courier-bold-r-normal--20-140-100-100-m-110-iso8859-1 Hanterm*hangulFont: -kaist-myeongjo-bold-r-normal--16-160-75-75-c-160-johab-1 그런다음 %xrdb -load hantermrc 하시고 한텀을 띄우시면 됩니다. 실제로는 한텀의 영어폰트가 없어서 생긴 문제이므로 두 번째 라인은 없어도 될 겁니다. xlsfonts |grep kaist 하면 없다고 불평해대는 한글 폰트가 아마도 보일 거예요. 일단 그렇게 한텀이 띄워 졌으면 그걸 디폴트로 삼기 위해서는 .Xdefaults라고 하는 본인의 홈 디렉토리에 이미 존재하는 화일에 똑같은 글을 한 줄 삽입해주면 되지요. .Xdefaults 화일과 .startup.X라는 화일을 잘 살펴보면 배우는 게 많이 있을 겁니다. .startup.X 화일의 앞 쪽에 보면 xrdb $HOME/.Xdefaults 또는 이와 비슷한 말이 있는데 바로 여기서 .Xdefaults에 있는 내용을 읽어 들이는 거지요. 그리고 한텀 매뉴얼 (README 화일)에 있는 대로 여러가지 option들을 .Xdefaults에다가 적어주면 편리하겠지요. 참고로 xfontsel이라는 명령을 실행해서 폰트를 직접 보면서 고르면 더 편리하답니다. 혹시 잘 안 될 수도 있는데 그럴때는 xlsfonts에서 보이는 그대로 써주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저도 질문한가지. 한글 에디터인 hvi, jstevie, helvis등을 카이스트에서 가져다 인스톨 할려고 해 봤는데 전부 실패했답니다. 어쩌면 좋은 한글 편집기를 구할 수 있을까요? 제 다른 유닉스 계정에서는 hvi가 인스톨되어 있는데 DECstation 5000/200에서는 잘 안되는 군요. 송 연호 --------------------------------------------------- 이상은 옛날에 제가 쓴 글이고 조금 추가하자면 우선 schumacher폰트가 그 시스템에 설치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폰트를 띄워 놓지 않아서 못 찾을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실제로 제 경우 $HOME/.startup.X에 다음의 구절을 집어 넣어서 여기 저기서 폰트가 없다고 불평하던 문제가 해결되었지요. xset fp+ /homes/yonho/hanterm/hanterm_font/,/usr/share/local/X11R5/fonts/misc/,/ usr/share/local/X11R5/fonts/100dpi/,/usr/share/local/X11R5/fonts/75dpi/,/usr/sh a re/local/X11R5/fonts/Speedo/,/usr/share/local/X11R5/fonts/Type1/,/usr/share/loc a l/X11R5/fonts/appl/,/usr/share/local/X11R5/fonts/eng/ 쩝, 마우스로 긁어다 붙였더니만 다 깨어져 버렸는데 실제로 위의 글은 한줄입니다. 자신의 시스템에 있는 폰트 디렉토리를 잘 뒤져보면 아마도 없다는 폰트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제가 위에서 질문했던 한글에디터는 pico라는 녀석이 있더군요. 사실은 그전에도가끔씩 썼었는데 한글이 되는 줄은 모르고 있었답니다. 바로 코밑에 두고 그걸 찾느라고 얼마나 고생했는지... *_^ 95년 2월 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