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ngulKorean ] in KIDS 글 쓴 이(By): yonho (Song) 날 짜 (Date): 1994년11월22일(화) 12시43분56초 KST 제 목(Title): RE:Lan에 연결된 피시로 ... 지금 이 글을 랜(LAN:이걸 란이라고 읽나요?)에 연결된 pc에서 쓰고 있습니다. 이야기 같은 멋진 프로그램은 저도 본적도 들은 적도 없고 대신 한글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램 상주 프로그램을 띄운다음 telnet으로 unix account에 들어오면 됩니다. 그런 램 상주 프로그램으로는 hanme와 dansi가 있는데 모두 kids.kotel.co.kr 이나 cair-archive.kaist.ac.kr 에서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것은 한글 입출력이 가능하 려면 에이타를 8비트로 전송해야 하는데 그게 보통의 telnet으로는 안 된다는 겁니다. 거기에 대한 2가지 해결책은 먼저 NCSA telnet(이게 보통 쓰이는 거죠)을 Clarkson Univ. 에서 고친 Clarkson telnet이 있는경우는 ctrl+Z를 누르면 rlogin mode로 전환 되는데 그러면 한글이 전송됩니다. 현재 NCSA telnet을 쓰고 계시는 경우 Clarkson telnet 프로그램에 있는 telbin을 가녀다 쓰셔도 config.tel을 바꿀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답니다. 에러 메세지가 잔끅 나오기는 하지만 상관없을 겁니다. 두번째 방법은 NCSA telnet에서 한글이 되도록 항공우주 연구소에서 고친 telnet을 쓴 겁니다. 이 역시 위의 ftp site에서 가져다 쓸 수 있는데 화일 이름이htel.zip 인가 htelnet.zip인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군요. config.tel을 바꾸지 말고 냥 쓰세요. 참고로 키즈나 언더비같은 bbs에서는 연결만 하면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해 놓았지만 보통의 개인 유닉스 계정에서는 한글로 된 텍스트 화일을 만들려면 먼저 stty pass8 이라는 명령을 내려주어야 합니다. 이역시 8비트 한글 전송을 위한 것이죠. 한메 한글과 다른 안시(dansi)는 장단점이 있는데 한메는 한자를 지원한다는 점 말고는 답답할 정도로 느리고 약간의 문제도 있는 듯 보입니다.(저는 그게 한메 한글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단시를 쓸 때는 그러지 않거든요.)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오타가 많은데 너무 성가셔서 고치지 않겠습니다. 제발 이 놈의 구닥다리 vi editor좀 바꾸었으면 ... 송 연호 yonho@glue.umd.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