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un ] in KIDS 글 쓴 이(By): snuiwa (▤큰바우▤) 날 짜 (Date): 2004년 3월 20일 토요일 오전 01시 43분 39초 제 목(Title): [펌]영화광 전여사--> 반지의 제왕 감독은? 정확히는 일부발췌 및 밑줄추가 출처: http://dvdprime.intizen.com/bbslist/read_BN.asp?BBSCODE=27&CATEGORY=SF&PAGE=1&LISTID=7319&search_text=%C0%FC%BF%A9%BF%C1&search_type=SB 글·전여옥(인류사회 대표)> ‘예술’이 아닌 ‘상품’인 영화가 권위 있는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는 요즘이다. 슬프지만 가볍고, 접속하지만 깊은 관계 설정을 거부하는 ‘디지털 패러 다임’으로 모든 영화가 건너가 버린 걸까? 요즘 몇 편의 영화를 열심히 보았다. 일단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을 보았고 ‘반지의 제왕’을 보았다. 또 ‘물랑루즈’도 보았다. 그런데 솔직히 떨떠름하다. 이 가운데 ‘해리포터…’는 그런 대로 구성력이 뛰어나다는 생각을 했지만 뭐 그리 썰렁한 영화다 싶었다. '반지의 제왕’은 정말 대단했다. 일단 영화광인 내가 영화보다 졸아본 것은 머리털 나고 처음이었다. ~~~~~~~~~~~~~~~~~~~ 저녁 9시 마지막회를 보았다고 해도 심했다. 엄청난 그래픽 효과로 치장한 기죽이는 도입부를 보고 ‘뭔가 있나보다 ’하는 기대를 갖게 했으나 무려 3시간 내내 쫓기고 쫓아가는 신경전의 연속이었다. 게다가 대사는 물론 구성력까지 왜 그렇게 치졸한지 한심했다. 물론 하이라이트는 결말이었다. 본전 생각도 나고 해서 졸다말다 하면서 그래도 끝까지 ‘결판을 내리라 ’하며 보았는데, 그 유명한 엔딩은 무엇이었는가? ‘2002년 크리스마스 , 제 2편을 기대해 주세요’였다. 배신감에 치를 떨며 내 앞에 조지 루카스가 있었다면 뼈도 못 추렸을 것이라고 ~~~~~~~~~~~~~~~~~~~~~~~~~~~~~~~~~~~~~~~~~~~~~~~~~~~~~~~~~~~~~~~~~~~ 이를 부드득 갈았다. ‘물랑루즈’는 한술 더 떴다. 최근 니콜 키드먼은 눈부신 연기의 발전 을 보였다. ‘투다이 포’의 요부 역과 ‘와이즈 아이즈샛’에서 무척 힘든 역할을 소화하는 저력을 보였다. 톰 크루즈가 없어도 충분히 독립 할 여배우였다. 그렇지만 ‘물랑루즈’에서는 우스꽝스러운 역할을 너무도 진지하게 소 화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물랑루즈’는 현란한 색감을 곁들인 뮤 지컬 영화로서 재치와 감각을 보여주었지만 감동이라는 단어와는 ‘가까 이 하기에는 너무도 먼 관계’였다. 보고 나서 도대체 이 영화가 어떻게 해서 타임지 10대 영화이며 칸 영화 제 개막작인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나야 그저 광적인 영화 애호 가일 뿐이지만, 모든 문화적 산물은 관객 한 사람의 만족과 감동에서 시 작되는 것 아닌가? 나는 왜 감동하지 못하는가? 나의 감동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시스템이라 그런가? 요즘 영화는 진지함과 치밀한 구성력과 앞뒤 아귀가 맞는 ‘아날로그적 시스템’을 과감히 벗어나 있는 것 아닌가? 어디든지 꽂을 수 있고 중간 부터 보아도 이야기가 되고 진지한 감동보다는 순발력이, 재치와 군더더 기가 없는 가벼움이 요즘 영화의 디지털 패러다임 속에서는 모든 경험이 상업화되는 동시에 타인과의 관 계를 피한다. (이하 생략) ▤HOGWARTS SCHOOL of WITCHCRAFT and WIZARDRY ▤▤▤▤▤▤▤▤▤▤▤▤▤▤ ▤Headmaster: ALBUS DUMBLEDORE ▤▤▤▤▤▤▤▤▤▤▤▤▤▤ Dear Mr. snuiwa, We a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you have passed every N.E.W.T. Minerva McGonagall, Deputy Headmistres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