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U ] in KIDS 글 쓴 이(By): Ecomy (#무자유#) 날 짜 (Date): 1996년07월27일(토) 22시02분16초 KDT 제 목(Title): [빛고을] 무등산 : 얽힌 얘기들(완결) 산수교회를 왼쪽으로 끼고 돌아 잣고개로 이어지는 길 양측에는 부화장과 양계장 이 있어 시골냄새가 물씬거린 곳이기도 하다.(지금도 있는지 모르겠다. 내가 광주 를 떠난지 이미 4년이 넘었으니..쩝) 아주 예전에 산수교회 주변은 논과 밭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메뚜기나 미꾸라지를 잡던 꼬마들의 놀이터로 유명했다고 한 다. 지금은 순환도로가 뻥하니 뚫리고 빼곡빼곡 집들이 들어서서 그 흔적조차 찾 아볼 수 없지만 예전에 그곳은 초.중고생이 동원되어 나무집게로 송충이를 잡던 곳이기도 한단다.(이건 솔직히 싫은거고..) 가장 부러운 것은 전에는 이곳에서 토 끼몰이를 했다고 한다.(어른들 말씀 중에서 젤루 부러운 점이다. 물론 나두 시골 서 토끼몰이 한번 해봤지만....) 그리고 이계곡은 연료가 부족하던 시절 무등산에 서 나무를 직접하러 오는 시민들이나 시장에 내다 팔아 돈을 벌 목적의 나무꾼들 이 지나다니던 길이기도 했다고 하니.... 참 나 뭐 본적이 있어야지.... 아는 얘기를 하자. 산수교회를 지나 무등산 관광도로(?)를 몇 구비 돌면 시야가 확 트인 곳이 있는데 이곳이 잣고개이다. 잣고개 라는 이름에 얽힌 여러가지 설 들을 나열해 보자. 우선 에전에 이곳에 잣나무가 많아서 '잣고개'라는 설과 까치 가 많이 살았다고 하여 '작고개' 라 불렀다는 설이 있다. '자'는 성(성)을 뜻하고 잣고개 좌우로 무진고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성이 있는 고개라는 해석도 가능하 다. 암튼 그렇다. 잣고개는 무등산의 원효사측 자락으로 진입하는 관문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므로 이곳을 지나면 시가지에서 벗어나 무등의 품에 안겼음을 실감하게 된다. 포근한 느낌을 주는 이 곳 도로는 많은 이들이 자가용을 가지고 지나가면서 아무 생각없 이 지나버리곤 하는 곳이다. 뭐 이곳이 목적지일리 만무하고 단지 통과지로만 여 겨서 그런지 모르겠다. 암튼 이곳에 있는 잣고개 전망대에 올라 광주의 전경을 내려다 보는 것도 재밌다. 광주의 발전상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고 날이 좋은 날은 송정리까지 펼쳐진 광경을 볼 수 있다. 야경의 화려한 모습은 정말 한 번 꼭 보기를 추천해주고 싶다. 무등산 등성이를 따라 구비구비 돌아가는 도로는 광주의 대표적인 드라이브코스 로 유명하다. 초보자에게는 연수코스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 길은 가로수가 마치 숲속의 터널을 지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전에 한 번 이곳을 걸어서 2 수원지를 까지 가본적이 있는데... 정말 차가 있다면 드라이브 해보고 싶은 길이 다. 이 길을 따라 충장사에 이르면 김덕령 장군의 생가터가 있는 충효동 마을과 광주호 상퓨에 자리잡은 식영정. 환벽당 등 가사문학의 산실로 이어진다.(무등산 에 대한 연재를 이걸로 마치고 다음에는 가사문학의 산실에 대한 주제로 글을 이 어나갈 것이다. 그리고 후에 김덕력장군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 할 생각이다. 내 가 존경하는 우리 고장의 인물이기에......) 시내에서 증심사를 향해 가다보면 좌측에 위치한 거대한 바위를 만난다. 관세음 보살바위라 부르는 이 바위는 마치 보살이 오가는 등산객들을 내려다 보고 있는 형상이다. 무등산 등반이 제한적이던 시절에 중봉까지만 오르내리던 등산객에게 는 매우 친근한 느티나무와 초가집. 그리고 막걸리와 시레기국을 끓여주던 곳이 지금은 대규모 보리밥식당으로 변해버려 산골마을의 정취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 져 버렸지만 그래도 400년이 훨씬 넘는 느티나무가 그곳에 버티고 서 있고 매년 당산제를 지내기도 한다고 한다. 글을 마칠려니 산에서 산장쪽으로 내려오던 길에서 팔던 도토리묵이 생각이 난 다. 언제나 다시 한번 그곳에서 도토리묵에 막걸리 한잔을 거칠 수 있을까...... @ ~~ ~~ ~ ~~~ ~~~~ ~ ~ 바람과 함께 떠나는 __=||=__-__-__ ? _ %% _ ###_ | :^^^^^^^^^^^^: ~~ ~` 기 차 여 행 '~~ ~ ~ ~ /_/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