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AU ] in KIDS 글 쓴 이(By): guest (guest) 날 짜 (Date): 1996년07월02일(화) 22시36분46초 KDT 제 목(Title): re]re] 대학 정보화.. 고나기 님이 평가기준을 물으셔서. 동아일보 기사정보(DA) 동아일보사 기사분류: 8. 정보/과학/의학 기사일자: 96/07/01 제 목: [대학정보화랭킹]분야별 성적분석 PAGE: 1/ 5 ------------------------------------------------------------------------------- [金昇煥기자] ▼ 학내 정보인프라 ▼ 대학내 정보인프라를 측정하는 분야에서는 포항공대가 전체 항목에서 2백40점 만 점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1.05점의 근소한 차이로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이 2위를 차지했다. 특히 두 대학은 일반 종합대학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 로 학내 정보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포항공대의 경우 학생 1인당 1.72대의 PC를 갖고 있어 다른 대학의 부러움을 사기 에 충분했다. 일반 대학이학생 1백명당 평균 16.89대의 PC를 갖고 있는 것과 비교하 면 1백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상위 10개 대학의 학생 1백명당 PC 평균 보유대수인 38.98대와 비교해도 엄청난 수준차이를 느낄 수 있다. PC의 네트워크 연결비율에 있어서도 포항공대는 100%, KAIST는 97.9%를 기록했다. 전산학과의 교수 1인당 학생 비율에 있어서는 KAIST가 6.28명, 포항공대가 10.4명 으로 KAIST가 앞선 모습을 보였다. 일반 종합대학중 1위를 차지한 서강대의 경우 학생 1백명당 PC보급대수는23대였으 며네트워크 연결비율은 92.8%였다. 또 전산관련학과 교수 1인당 학생비율은 32.45명 이었다 포항공대와 KAIST를 제외한 8개 대학중 학생 1백명당 PC보유대수가 가장 많은 대 학은 숭실대로 25대였으며 범용컴퓨터 보유대수는 원광대가 2백20대로 가장 많았다. 정보인프라 분야 상위 10개 대학의 경우 평균 2천3백82대의 PC를 보유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비율은 91%, 워크스테이션 및 중대형컴퓨터는 2백53.7대를 갖고 있었 다. 전산관련학과 교수 1인당 학생비율은 평균 27.28명으로 전체 평균 41.94명보다 훨 씬 좋은 환경에서 관련학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 대부분 컴퓨터 관련 강좌를 교양필수나 선택과목으로 정해 일반 학생에게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 정보관리 ▼ 대학의 전산시스템을 책임지고 있는 전자계산소에 대한 평가를 주요 내용으로 한 정보관리 분야에서는 원광대가 1위를 차지했다. 원광대의 경우 전자계산소에서 교직원 및 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지역주민들에 대한 교육도 활발했다. 또 각종 관련 세미나와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등을 통해 전자계산소가 정보화를 이끌어가는 모범적인 사례로 실사팀에 평가받았다 . 2위를 차지한 경북대의 경우 전자계산소인력이33명으로 전체 대학평균 12.44명보 다 상당히 많은 인력자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 및 전시행사가 다 양한 것이 좋은 점수를 받은 요인이었다. 전문대중 유일하게 분야별 상위 10개 대학중 하나로 선정된 영진전문대는 정보관 리의 각 분야에서 고른 점수를 받았다. 영진전문대는 전자계산소 인력이 28명으로 일반 대학 평균보다 많았으며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교육과 관련 세미나를 활발하 게 펼쳤다. 고려대는 전자계산소에서 한단계 승격된 정보전산원이 49명의 인력으로 일반 대학중 가장 많았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홈페이지 경연대회 등을 실시해 인터넷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성공했다. 또 정보전산원을 중심으로 행정 무(無)서류화 운동과 네티즌화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 분야 상위 10개 대학의 경우 전자계산소장이 대부분 교무위원으로 임명돼 학교안에서의 전자계산소의 위상이 높음을 반영했다. 현재 국내 대학 전자계산소중 소장이 교무위원으로 있는 대학은 81개이며 비교무위원은 94개 대학이다. 랭킹평가특별취재반△정보과학부〓朴賢眞 金鍾來 洪錫珉 羅成燁 △경제부〓千光巖 △사회부〓李浩甲 △문화부〓琴東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