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Davin (다빈)
날 짜 (Date): 2006년 11월 14일 화요일 오후 06시 54분 36초
제 목(Title): Re: 불교의 사후관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는 사후세계에 관련된 사항은 없습니다.
그 유명한 "독화살의 비유"  설법에서 사후세계에 관한 관심이 
쓸데 없음을 말씀하셨습니다.

허나, 인도에는 원래 윤회론이 있어서 
불교에는 윤회론의 사후세계관이 따라 다닙니다.

그러다 보니 불교의 사후세계관은 인도의 사후세계관인 윤회론으로 
다들 알고 있습니다.

윤회는 여섯 나라를 돌아다니며 합니다.

첫째  지옥계  : 지독한 고문의 나라입니다.
둘째  축생계  : 동물의 영역입니다. 식욕과 성욕등 생물학적 욕망의 세계
세째  아귀계  : 분노와 욕망의 합성 영역입니다. 끝없이 요구하는 세계
네째  천상계  : 감각적 희열, 환희, 심미적 쾌락의 장소
다섯째 아수라계 : 천상계의 영역으로 오해되기도 하나 Jealus God 의 세계
                  끊임없이 경쟁하는 세계
여섯째 인간계 : 현재 저희들의 세계입니다.

붓다 고타마님 ( 석가모니 부처님의 이름이 고타마 싯달타 임 )
의 가르침을 따르면 이러한 육도 윤회가 멈추고 해탈열반한다고 
합니다.

불교책에서 사후세계를 기록한 책은 없을 것입니다.
단, 초기경전인 아함경( 앙굿다라 니까야, 디가 니까야, 마찌마 니까야 등 )
에 부처님이 위의 육도 윤회에 대해 언급한 내용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빔비사라왕은 죽은 후 무슨 천상계에 태어났다는 등.

허나 붓다님의 원천적 가르침에는 사후세계에 관한 내용은 없습니다.

관세음보살님도 초기에는 등장하지 않고 
쿠샨제국시대에 대승불교의 탄생 이후 등장합니다.
그 후 관세음보살님은 모든 종교의 상징들로 등장합니다.

샤마니즘과 불교가 합쳐진 티벳 불교에서의 사후세계는
티벳의 사자의 서 책에 나와 있습니다.
49 일간 중간 세계에 머물다가 6도윤회를 시작한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불교계에서 49 재를 하는 이유가 이 동안 지옥이나 아귀 축생계등으로
추락하지 말도록 기도하는 것입니다.

지옥계에 떨어지더라도 다시 다른 곳으로 윤회할 수 있도록
지장보살님을 설정해 두었습니다.

모자라지만 아는대로 써 보았습니다.
혹시 미진하다면 다른 분이 잘 써 주시겠지요.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