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ddhism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목록][이 전][다 음]
[ Buddhism ] in KIDS
글 쓴 이(By): Mind ( 이승환)
날 짜 (Date): 1995년09월12일(화) 17시08분20초 KDT
제 목(Title): [청정회] 수행의 방법



  외도의 수행법과 다른  종교의 수행법같은 것들은 모두 제외하
고 순수하게 불교에서 말하는 수행은 세가지로 나뉩니다. 이것들
은 모두 경전에 근거한  것이며 또한 경전에 근거한 것은 이것들
입니다.
  첫째 관법으로는 일출관, 월출관, 백골관, 자비관, 수식관, 비
파사나 등등 이 있습니다.
  둘째 념념상속법으로는 염불,  주력, 범위를 넓히면 독경(차라
리 관법이나  더 낮은 수행법에 가깝지만  잘 하면 념념상속법의 
효과를 조금은 볼 수 있습니다.) 정도가 잇습니다. 
  셋째 의심법으로는 격외도리인 화두를 가지고 의심하는 화두법
과 능엄경 25원통법문의  화두법에 해당하는 수행법(소리가 어디
에서 들리는지를 찾는것 같은)이 있습니다.

  이 방법들은 각기 그 쓰임이 있습니다. 
  관법은 무지몽매한 중생이  집착과 탐욕에 잠겨 있어 빠져나오
는 방법을 모르고 헤매일 때 '정신을 차리게' 해 줍니다. 
  념념상속법은 일단 정신을 차린  수행자가 그 깨어 있는 '삼매
의 영역을 확보' 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의심법은 영역은 확보되어 큰 번뇌는 없으나 깊은 삼매에 들지 
않아 미세번뇌가 빠져나오는  수행자가 '깊은 삼매에 들기' 위해
서 하는 수행입니다. 

  이러한 쓰임은 각각의  수행법의 고유한 특성에 기초한 것이므
로 바뀔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 특성과 자세한 의미는 다음 글
에 밝히겠습니다.

  이러한 수행법의  의미를 모른다면  자신의 수행법으로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 것이며  어느 수행단계에서 어떻게 이용하는 것
인지도 모르는 것이므로 수행이 될 수가 없습니다.

[알림판목록 I] [알림판목록 II] [글 목록][이 전][다 음]
키 즈 는 열 린 사 람 들 의 모 임 입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