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fterWeddingMarch ] in KIDS 글 쓴 이(By): bomjun (권범준) 날 짜 (Date): 2010년 06월 24일 (목) 오후 10시 53분 16초 제 목(Title): Re: 사슴벌레 몇 년 전에 화제가 되었던 노랜데... 키즈에서도 본 듯... [[ 남자의 로망 ]] 2. 일본의 가수 그룹인 페니실린이 부른 노래. 男子のロマン이라는 일본어 버젼과 NAMJA E ROMAN 이라는 한국어 버전이 존재한다. 둘다 가사의 뜻은 거의 같다. 2002년 하나조노키네마 싱글에 男子のロマンZ라는 리메이크버전이 실려있다. 페니실린 그룹 내에 곤충 마니아가 있어서 이런 노래가 나왔다고 전해진다. 한국어 버전은 페니실린 내한 공연을 앞두고 한국팬들을 위해 준비했다고. 여하튼 이것의 한국어 버젼의 발음이 압권이어서 곤충 마니아들 사이에 상당히 유행했던 곡. 곤충 마니아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들어도 웃긴듯 하다. 웹상에서도 이쪽 세계에서만 컬트적으로 유행하긴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초난강이 부른 한국어 노래인 '정말 사랑해요'가 나온 이후로는 완전히 묻혔다. ... 중략 ... 남자의 로망에 등장하는 딱정벌레 목록 가사에 등장한 순서이며 왼쪽은 노래에서 나온 명칭. 오른쪽은 국내 정식 명칭으로 표기. 1.톱사슴벌레(ノコギリクワガタ)-톱사슴벌레 우리나라 자생 톱사슴벌레와 동종이다. 2.꽃사슴벌레(ミヤマクアガタ)-사슴벌레 일본어를 그대로 옮기면 깊은산 사슴벌레겠지만 가사수를 맞추려고 꽃사슴벌레라 한 듯 하다. 학명은 Lucanus maculifemoratus로 우리나라의 Lucanus maculifemoratus dybowskyi의 원명아종이다. 우리나라 자생 사슴벌레와는 투구모양 돌기 옆의 곡선 정도가 다르다고 한다. 3.넓적다리사슴벌레(ヒラタクワガタ)-넓적사슴벌레. 일본어를 그대로 옮기면 넓적사슴벌레겠지만 가사수를 맞추려고 넓적다리라 한 듯 하다. 학명은 Dorcus titanus pilifer로 우리나라의 넓적사슴벌레인 Dorcus titanus castanicolor보다 작다. 우리나라의 Dorcus titanus castanicolor는 일본의 대마도에만 서식해서 대마도 넓적 사슴벌레(ツシマヒラタクワガタ)라고 불린다. 4.붉은다리사슴벌레(アカアシクワガタ)-홍다리사슴벌레. 말 그대로 홍다리 사슴벌레. 우리나라의 자생 홍다리사슴벌레와 동종이다. 5.투구풍뎅이(カブトムシ)-장수풍뎅이. 일본어 카부토무시를 직역한듯 하다. 우리나라의 장수풍뎅이와 동종이다. 6.풍뎅이(カナブン)-풍이 일본어를 그대로 옮기면 풍이겠지만 가사수를 맞추려고 풍뎅이라 한 듯 하다. 덕분에 전혀 다른 곤충이 되어버렸다. 일본어 버젼 가사대로 カナブン 이라면 Rhomborrhina japonica. 즉 풍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풍뎅이는 일본어로 コガネムシ라고 쓴다. 덧붙여 우리나라에서 그냥 풍뎅이라고 한다면 Mimela splendens를 가리킨다. 7.왕사슴벌레(オオクワガタ)-왕사슴벌레 일본어를 그대로 옮기면 큰사슴벌레겠지만 우리나라의 표기를 존중해준듯 하다. 이 노래에서 등장하는 곤충 중 일본과 뜻이 다른데 우리나라의 표기를 정확히 해준것은 이녀석 뿐. (심지어 풍이가 풍뎅이가 되어버렸는데 큰사슴벌레가 아니라 왕사슴벌레라고 해 주었다. 톱사슴벌레의 경우 일본에서도 톱사슴벌레(ノコギリクワガタ)이니 무효.) 이 노래에 왕사슴벌레 찬양적인 가사가 있는 것을 보아 모종의 음모가 있는 듯 하다. 우리나라의 자생 왕사슴벌레와 동종이다. 8.조그만사슴벌레(コクワガタ)-애사슴벌레 일본어를 그대로 옮기면 작은 사슴벌레. 가사수를 맞추기 위해 조그만 사슴벌레라고 늘려 쓴 듯 하다. 우리나라의 자생 애사슴벌레와 동종이다. 출처: http://mirror.enha.kr/wiki/남자의 로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