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Jou ] in KIDS 글 쓴 이(By): Arthur (->_<-) 날 짜 (Date): 2004년 5월 22일 토요일 오후 04시 23분 55초 제 목(Title): 마루타. 졸업할려니까 없던 과목들이 막 생기네... 아..억울해... 그동안 여러가지 커리큘럼 실험당하는 마루타였던거였다... 후배들은 좋겠네... 데이터베이스랑 사진이랑 겹쳐서 사진 못듣는데 참 억울하네... 영화제작 과목도 못듣고.. 영상합성은 아직 개설이 안되었네.. 새로운거 많이 생기거 같다... 아직 다 개설된건 아니지만.. 드로잉1 (Drawing 1) 드로잉2 (Drawing 1) 1,2로 나뉘어지고 사운드디자인편집도 1,2로 나뉘어짐!! 광고기획 및 제작도 1,2로 나뉘어 지고................ 대략 염장쑈~~~ ================================================= 이번에 새로 생긴 과목하고 변경된 과목. ================================================= 드로잉1 (Drawing 1) 디자인 및 애니매이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드로잉를 통해 사물에 대한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고, 인체의 유기적인 구조를 형태, 비례, 균형 및 운동 등을 살려 묘사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인상과 성격을 포착하여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관찰력과 묘사력을 키운다. 드로잉2 (Drawing 2)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필수적인 사물의 인상과 성격 포착 등의 형태묘사 능력과 응용을 위해 드로잉1에서 배운 기본적인 드로잉 능력을 바탕으로 더욱 디테일한 사물의 형태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로잉 재료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하며, 드로잉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통해 그 방법을 심화시키는 과정이다. 디자인 문화론 (Design Culture Theory)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의 올바른 이해와 수행을 위해 디자인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 의미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과목이다. 또한 디자인의 변천, 디자인 스타일, 디자인 방법론, 트랜드, 디자인 비평, 미래디자인 등에 관해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디자인을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보다 창의적이고 의식있는 디자인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갖도록 한다. 색채실습 (Color Theory and Practice) 색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활용을 위해 이론과 실습을 통해 색채활용에 대한 감각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색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디자인이나 영상에서 올바르고 개성있는 색채활용 감각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아날로그와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에서 색의 적용훈련을 통해 보다 나은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 1, 2 (Photography 1, 2) 사진은 예술인 동시에 과학이므로 빛과 색에 대한 예술적인 해석과 촬영 및 조명의 매커니즘, 사진의 특성, 빛과 농도와의 관계, 색온도와의 관계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교육한다. 미디어프로젝트실습 1,2,3,4 (Media Project Lab 1,2,3,4) 멀티미디어 분야의 소프트웨어, 애니메이션, 영상, 디자인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분야별 협동 및 학년별 협동 과제의 형식을 진행하는 과목이다. 팀구성은 분야별, 학년별로 다수가 모여서 진행하며, 팀 프로젝트를 통하여 분야별 협력적 작업 모델을 정립하고, 다양한 인적 자원이 협력하여 주어진 주제를 완성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반드시 2가지 분야 이상이 융합된 주제를 선정하고, 2개학년 이상으로 구성된 팀을 이루어, 담당교수의 서면 수강허가를 득해야 한다. 2D 애니메이션(2D Animation)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서 기본적인 제작과정 및 각 종류별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간단한 스토리를 설정, 제작하는 과정을 통하여 사물의 움직임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타이밍에 대한 감각적 훈련과 창의력을 키운다. 애니메이션 특화 (Special Topics Animation) 컴퓨터를 이용한 현실감 있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고급 주제를 다룬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제작 단계와 제작 후 단계에 걸쳐서 보다 인상적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여러 가지 특수 효과 후처리 효과, 제작 파이프라인의 이해를 통한 새로운 시도에 대한 고급 주제를 학습하고, 고급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컴퓨터 일러스트레이션 (Computer Illustration) 디지털 콘텐츠제작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나 캐릭터, 그래픽 이미지, 광고 등에 필요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과정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기능적 표현의 습득 및 활용과 더불어 창의적 발상을 통해 목적에 맞으며 독창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또한 실험적 일러스트레이션제작 시도를 통해 새로운 스타일의 추구에 대한 부분도 병행한다.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방송 매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넓히고 방송매체가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변화되는 방송 제작 방식에 대해 배우고 이를 실습한다. 영상합성 (Film Composition) 영상합성은 애니메이션, 광고,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포스트 프로덕션에 사용되는 요소 기술이며 또한 작품의 미적 수준을 마무리하는 예술이다. 본 과정을 통해 영상합성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 애니메이션, 광고, 영화에 필요한 영상 합성을 실습한다. 미디어기획 (Media Planning) 현재의 미디어 프리프로덕션 과정은 One-Source Multi-Use를 고려한 복합적인 기획을 필요로 한다. 급격히 발전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필요한 복합적인 미디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다루고, 학생들 스스로 마케팅 조사에서 One-Source Multi-Use의 가상 기획서를 작성하기 까지 전 과정을 실습한다. 사운드 디자인 및 편집 1 (Sound Design and Editing 1) 사운드를 녹음, 디자인하고 편집하는 기능을 사운드 편집용 컴퓨터 프로그램 도구를 통해 익히고 게임, 멀티미디어, 애니메이션 제작 시 음향이 제작 합성되는 세부과정을 인지하여 사운드와 미디어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주어진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사운드를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감각을 배운다. 사운드 디자인 및 편집 2(Sound Design and Editing 2) 게임, 멀티미디어, 애니메이션 제작 시 음향이 제작 합성되는 세부과정을 인지하여 사운드와 미디어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주어진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사운드를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감각을 배운다. 미디어소프트웨어 프로젝트 1,2 (Media S/W Project 1,2) 게임 및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주제를 개별 프로젝트로 진행한다. 다양한 이론 및 실습 과목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개인별 주제를 설정하고, 설정된 문제의 해결 방법을 습득한다. 개인별로 설정된 주제는 미디어포트폴리오 과목으로 연결하여 개별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바일응용프로그래밍 (Mobile Application) PDA 환경 중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는 Windows CE를 장착한 Pocket-PC에서 실제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한다. PDA 환경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며,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와 툴을 개발한다. PDA 스크린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요하기 위한 GUI 프로그래밍과 COM 컴포넌트, 임베디드 DB, 멀티쓰레드 등에 관해 학습한다. Part 2에서는 Pocket-PC용 게임 제작을 위한 필수 요소를 학습, 실제 Pocket-PC용 게임을 제작하도록 한다. 미디어 디자인프로젝트 1,2 (Media Disign Project 1,2) 학부 디자인과 관련된 과목들을 이수한 학생들이 이를 종합하여 프로젝트로 완성하고 이를 졸업 작품과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디자인관련 수업을 통해 배웠던 내용의 심화적 표현, 웹 콘텐츠, 광고 등의 프로젝트를 주제로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고 구체화시킨다. 깊이있는 주제표현과 다양한 형태의 표현방법, 매체선택을 통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미디어영상프로젝트 1(Media Film Project 1)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실제로 제작해보는 과정이다. 제작 과정을 통해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구성요소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전체를 구성하는 능력을 키운다. 이전의 과목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창의적으로 구현하고 프로젝트 팀의 구성원으로써 서로 협조하며 자신의 맡은바 역할을 다하는 능력을 키운다. 미디어영상프로젝트 2 (Media Film Project 2) 디지털 영상 및 애니메이션 관련 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총정리 하여 졸업프로젝트를 제작하는 과정이다. 미디어영상1과 같이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디지털 영상을 제작하며, 실제 산업체에서 진행되는 것과 같은 전문 프로덕션 파이프라인 제작 과정을 습득한다. 영화제작1 (Film Production 1) 영상연출과 영상편집을 통해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여 영화제작 전 과정을 이끌어 나아가 한 편의 완전한 영화를 만든다. 학생들은 실제 영화제작 현장의 스텝기능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영화제작 기술을 습득한다. 영화제작2 (Film Production 2) 영화제작 과정의 최종 단계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시나리오와 영상연출과 영상편집을 통해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영화제작 전 과정을 이끌어 나아가 30분 내외의 한 편의 완성된 졸업영화를 제작한다. 광고기획 및 제작 1 (Advertising Planning and Production 1) 광고의 개념, 현대사회에서의 광고의 역할, 광고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배우고 이러한 이론을 실제 광고제작에 적용함으로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배운다. 광고기획 및 제작 2(Advertising Planning and Production 2) 다양한 매체와 관련된 광고 기획의 이론적 접근과 사례연구를 통해 실질적이며 창의적인 광고제작을 위한 보다 심화된 수업이다. 마케팅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적 접근을 통해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광고 기획이 무엇인가에 대해 기획서 작성, 광고제작기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어떻게 구체화시켜 다양한 매체를 위한 창의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광고제작을 완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습한다. 애니메이션 이론 (Animation Theory) 3차원 게임 프로그램 제작에 중요한 요소인 다관절 물체의 제어와 관련된 고급 프로그래밍 주제를 다룬다. 다관절 물체의 메쉬 제어 및 관절의 운동학적, 동역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이론 및 프로그래밍 기법을 습득한다. ====================================================================== 내생각을 맞춰보아요. 추측은 말아요. |